Source Follower의 가장 큰 장점은 고주파 응답이 매우 좋다는 것이다. 내부 축전기가 Miller's effect 영향을 받지 않는다. 회로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.
그림 (b) 주목 하시면 됩니다.
(** 잘 이해는 안 가지만 이런 말이 교과서에 있다. 회로에 축전기가 3개 있지만 transfer function은 이차식으로 나온다. 그 이유는 위의 축전기 세 개가 연속적인 LOOP를 형성하기 때문이다. 출력 전압은 다음의 경우에 0이 된다. 주파수가 무한대로 가게 되면 CL의 저항이 0으로 되어 short-circuit처럼 된다. 그 경우 0이 된다. 그리고 RL'과 CL이 병렬로 연결이 되어 있는 데 이 둘의 합성 저항으로 들어가는 전류가 0일 경우 출력 전압이 0이 된다. 그 전류는
(gm + sCgs)Vgs이다. 그래서 zero는 Sz = -(gm) / (Cgs) 이다. 임을 알 수 있다.
개방 시정수 방식을 이용해서 Rgd와 Rgs를 구할 수 있다.
Rgd의 경우에는 Rsig가 보이게 된다.
Rgs의 경우에는 그림 (c)를 참고하면 된다.
그리고 RcL의 경우에는 그림 (a)에서 시작해서 Vsig를 0으로 두면 Vg가 0이 된다는 점을 이용해서 구하면 된다.
'전자회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urrent Mirror Circuit with improved performance (0) | 2014.11.17 |
---|---|
Emitter Follower + Frequency Response // 공통 컬렉터 + 주파수 응답 분석 (0) | 2014.11.16 |
Source Follower (Common Drain) // 공통 드레인 (0) | 2014.11.16 |
CE amplifier with an Emitter Resistance // 공통 에미터 (에미터 단에 저항이 있을 때) (0) | 2014.11.16 |
BJT Cascode(BJT 캐스코드) (0) | 2014.11.16 |